본문 바로가기
심리학

인지심리학 주요 이론과 개념 총정리 | 기초 심리학 알아보기

by 새숲 2025. 1. 12.
반응형

인지심리학이란

인지심리학(Cognitive Psychology)은 인간의 정보 처리 과정을 탐구하는 기초 심리학 분야 중 하나입니다. 인지심리학에서는 학습과 기억, 주의 및 문제 해결, 언어와 사고 등 전반적인 정신적 과정을 이해하고 연구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지심리학의 주요 이론들과 그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.

 

1. 정보처리 이론 (Information Processing Theory)

  • 정보처리 이론은 인간의 정신 과정을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 빗대어 설명하는 이론입니다.
  • 단계적 모델 설명
    1. 감각 등록기 (Sensory Register): 외부 자극을 감지하여 단기적으로 저장함.
    2. 단기 기억 (Short-term Memory): 정보가 일시적으로 유지 및 처리됨. 이때 작업 기억을 포함함.
    3. 장기 기억 (Long-term Memory): 정보를 긴 시간 동안 저장하는 시스템.
  • 대표 학자로는 Atkinson & Shiffrin이 있으며, 다중 저장 모델을 주장합니다.

 

2. 스키마 이론 (Schema Theory)

  • 스키마(Schema)란, 특정 주제와 상황 또는 대상에 대한 정신적인 틀이나 구조를 의미합니다. 스키마는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, 학습과 기억의 맥락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.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때 기존의 스키마를 기반으로 이해하며, 필요에 따라 가지고 있던 스키마를 수정하기도 합니다. 수정은 동화 혹은 조절을 통해 이뤄집니다.
  • 대표 학자로는 Jean Piaget (장 피아제)가 있으며 인지발달 이론에서 스키마를 설명합니다.

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, 학습 및 기억에 활용되는 스키마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.

 

 

발달심리학이란? 주요 이론 알아보기 | 피아제 인지발달 단계

발달심리학(Developmental Psychology)은 인간의 수태부터 사망까지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입니다. 생애 전반에 걸친 심리적, 정서적, 사회적, 신체적 변화를 다루

new-forest.tistory.com

 

 

학습심리학 알아보기 | 기초 심리학 주요 이론

학습심리학: 정의와 주요 이론학습심리학의 정의학습심리학은 인간 및 동물의 학습 과정, 즉 환경과 경험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 및 행동이 변화하는 방식을 알아보는 기초 심리학의 한 분야

new-forest.tistory.com

 

 

3. 주의 이론 (Attention Theory)

주의 이론으로는 크게 선택적 주의와 자원 이론이 있습니다.

선택적 주의 (Selective Attention)

  • 인간은 한 번에 여러 자극을 처리하지 못하고, 특정 자극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필터 모델: 외부의 모든 정보가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, 특정하고 중요한 정보만 필터를 거쳐 집중 및 선택되는 개념.
  • 대표 학자로는 Donald Broadbent (필터 이론), Treisman (감쇠 이론)이 있습니다.

자원 이론 (Resource Theory)

  • 인간의 주의 집중은 한정된 자원을 바탕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자원 분배 방식에 따라 수행 능력이 달라진다는 주장입니다.
  • 대표 학자: Kahneman.

 

4. 기억 이론 (Memory Theory)

대표적인 기억 이론으로는 작업 기억 모델과 장기 기억이 있습니다.

작업 기억 모델 (Working Memory Model)

  • 작업 기억은 단기 기억이 활성화된 형태임과 동시에 정보 처리와 조작이 함께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.
  • Baddeley & Hitch의 모델:
    • 중앙 집행기 (Central Executive): 자원과 주의를 적절하게 배분합니다.
    • 음운 루프 (Phonological Loop): 언어적인 정보 처리 역할을 맡습니다.
    • 시공간 스케치 패드 (Visuospatial Sketchpad): 시각적, 공간적 정보를 처리합니다.
    • 에피소드 버퍼 (Episodic Buffer):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합니다.

장기 기억 (Long-term Memory)

  • 명시적 기억(Explicit): 의식적으로 기억하고 떠올릴 수 있는 정보가 해당합니다. 에피소드 및 의미를 기억하는 일.
  • 암묵적 기억(Implicit): 의식적으로 회상할 필요 없는 정보가 해당합니다. 절차 기억 및 조건화 학습.

 

5.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이론

휴리스틱(Heuristics)과 바이어스(Bias)

  • 휴리스틱: 복잡한 문제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직관적인 도구입니다.
    • 대표성 휴리스틱: 판단 기준은 사건의 대표성에 있습니다.
    • 가용성 휴리스틱: 판단 기준은 정보가 얼마나 쉽게 떠오르는가에 있습니다.
  • 인지적 바이어스: 판단의 오류를 일으키는 비합리적인 사고 경향을 의미합니다.
    • 대표적인 바이어스로는 확증 편향과 후광 효과가 있습니다.

 

6. 인지 발달 이론 (Cognitive Development Theory)

  • 인간의 인지 능력은 연령에 따라 단계적으로 특정한 사고 능력 획득과 함께 발달한다고 주장합니다.
  • 대표 학자는 장 피아제입니다.
    • 감각운동기 (Sensorimotor Stage): 0-2세, 감각과 운동 경험.
    • 전조작기 (Preoperational Stage): 2-7세, 상징적 사고 발달.
    • 구체적 조작기 (Concrete Operational Stage): 7-11세, 논리적 사고 발달.
    • 형식적 조작기 (Formal Operational Stage): 12세 이상, 추상적 사고 가능.

 

7. 사회적 인지 이론 (Social Cognitive Theory)

  • 인지 능력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거쳐 발달하며, 이때 관찰과 모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.
  • Bandura의 관찰 학습 이론
    • 모형화(Modeling):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하는 것.
    • 자기 효능감(Self-efficacy): 스스로 특정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과 관련 있습니다.

 

인지심리학은 교육 및 각종 치료, 컴퓨터와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되며 널리 응용되고 있습니다. 각 인지 이론은 인간의 복잡한 인지적 과정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합니다.

 

더 많은 심리학 지식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읽어보세요 :)

 

 

생물심리학이란? 신경계와 뇌의 역할 및 기능 알아보기

생물심리학이란?생물심리학(Psychophysiology)은 인간의 심리적 과정과 생리적 과정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. 기초 심리학 중 하나에 속하며 생리심리학 또한 신경심리학

new-forest.tistory.com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