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발달심리학(Developmental Psychology)은 인간의 수태부터 사망까지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입니다. 생애 전반에 걸친 심리적, 정서적, 사회적, 신체적 변화를 다루며, 인간이 성장하면서 경험하는 변화는 물론,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까지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.
전 생애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.
- 태아기 : 수태 ~ 출생
- 영아기 : 출생 ~18개월
- 초기 아동기 : 18개월 ~ 6세(학령기 전)
- 후기 아동기 : 6세 ~13세(초등학교)
- 청소년기 : 13~ 20세(중등교육 초기)
- 초기 성인기 : 20~30세
- 중기 성인기 : 30~65세
- 후기 성인기 : 65세~
주요 연구 분야
- 인지 발달 (Cognitive Development)
- 인간의 학습, 기억, 사고, 문제 해결 능력의 변화를 연구합니다.
- 대표적인 이론: 장 피아제(Jean Piaget)의 인지발달론
- 감각운동기(Sensorimotor Stage): 출생~2세
- 전조작기(Preoperational Stage): 2~7세
- 구체적 조작기(Concrete Operational Stage): 7~11세
- 형식적 조작기(Formal Operational Stage): 12세 이상
- 사회적 발달 (Social Development)
- 인간이 다른 인간과의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며, 사회 규범을 이해하고 내재화하는 과정을 연구합니다.
- 대표적인 이론: 에릭 에릭슨(Erik Erikson)의 심리·사회적 발달 이론.
- 인간은 생애를 통해 8단계의 심리·사회적 위기를 경험하며 성장한다고 보는 이론
- 정서 발달 (Emotional Development)
-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감정 조절 능력,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는 능력을 탐구합니다.
- 애착 이론: 존 볼비(John Bowlby)는 생애 초기 애착 관계가 평생의 정서적 안정감에 큰 영향을 준다고 주장.
- 신체 발달 (Physical Development)
- 신체적 발달과 성장, 뇌 발달, 운동 능력 발달 과정 등을 연구합니다.
- 특정 연령대별 발달적 표준을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발달 지연이나 장애를 조기 발견하는 데 기여함
- 언어 발달 (Language Development)
- 사람이 언어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연구합니다.
- 대표적 이론: 노엄 촘스키(Noam Chomsky)의 언어습득 장치(LAD) 이론
주요 이론과 학자
- 장 피아제 (Jean Piaget): 인지 발달 이론
- 에릭 에릭슨 (Erik Erikson): 심리 · 사회적 발달 이론
- 존 볼비 (John Bowlby): 애착 이론
- 레프 비고츠키 (Lev Vygotsky): 사회문화적 발달 이론
인간 발달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함 - 로렌스 콜버그 (Lawrence Kohlberg): 도덕성 발달 이론
발달심리학의 응용
- 교육 분야: 아동의 발달 단계에 적절한 교육 방식을 개발합니다.
- 임상 및 상담: 발달 장애 및 정서적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쓰입니다.
- 사회 정책: 아동 복지, 노인 복지 등 각각의 연령대별 복지 정책을 설계할 때 활용됩니다.
발달심리학은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, 각종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합니다.
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이론
피아제는 현대 발달심리학과 지능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심리학자입니다. 인간을 결정하는 게 유전이냐 환경이냐를 따지는 생득론과 경험론 모두 반대하며, 지능은 아동의 내부와 외부 영향의 상호작용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합니다.
1. 주요 개념
- 도식(schema/스키마)
개인이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일종의 정신 구조. - 동화(assimilation)
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맞추어 외부 환경의 새로운 정보를 변형하는 것 - 조절(accommodation)
새로운 정보에 따라 기존의 도식을 재구성 및 변형하는 것 - 평형(equilibrium)
동화와 조절이 부딪히지 않는 상태
2. 인지발달 단계
- 감각운동기(출생~2세): 감각 경험과 운동 활동을 통해서만 외부 세계와 대상을 이해할 수 있다.
대상영속성을 획득하는 것이 이 시기의 발달 과업이다. - 대상영속성: 감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대상이 계속 존재한다고 믿는 것
예시) 까꿍 놀이 - 전조작기(2~7세): 언어를 학습하지만 성숙한 조작적 사고(실제 행동 전에 머릿속에 그려볼 수 있는 내면화된 능력)가 발달하기 전 단계. 자기중심성과 중심화가 주요 이슈.
- 마음 이론: 타인도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누군가 아는 것을 다른 누군가는 모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
- 구체적 조작기(7~11세): 구체적 사건들에 대한 논리적인 사고를 보여준다. 보존성과 가역성을 이해함.
- 형식적 조작기(11세~):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며, 가상적 사고를 수행할 수 있다.
이상으로 기초심리학 중 하나인 발달심리학에 대해 알아보고, 나아가 발달 심리의 아버지로 불리는 장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까지 살펴보았습니다. 더 다양한 심리학 분야가 궁금하시다면 이전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.
2025.01.09 - [심리학] - 생물심리학이란? 신경계와 뇌의 역할 및 기능 알아보기
생물심리학이란? 신경계와 뇌의 역할 및 기능 알아보기
생물심리학이란?생물심리학(Psychophysiology)은 인간의 심리적 과정과 생리적 과정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. 기초 심리학 중 하나에 속하며 생리심리학 또한 신경심리학
new-forest.tistory.com
반응형
'심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지심리학 주요 이론과 개념 총정리 | 기초 심리학 알아보기 (0) | 2025.01.12 |
---|---|
학습심리학 알아보기 | 기초 심리학 주요 이론 (0) | 2025.01.11 |
생물심리학이란? 신경계와 뇌의 역할 및 기능 알아보기 (0) | 2025.01.09 |
기본 영양제 연령별 조합, 효과 및 주의점 (0) | 2025.01.08 |
만다라 차트 활용법, 무료 양식 나눔 (0) | 2025.01.07 |